이슈보는 집사/AI

48시간 안에 AI 앱 만들고 첫 고객 확보하기: 도전과 교훈

우리집 고양이 토토에요 2024. 11. 9. 13:00
반응형

48시간 안에 AI 앱 만들고 첫 고객 확보하기: 도전과 교훈

소개

최근 AI 기술의 발전과 노코드 툴의 등장으로 누구나 쉽게 AI 앱을 개발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본 블로그에서는 48시간 안에 노코드 툴과 AI를 활용하여 링크드인 게시물 생성 앱을 개발하고, 첫 유료 고객을 확보하는 도전 과정을 소개합니다.

 

48시간 AI 앱 개발 도전: 주요 과정

 

1. 아이디어 구체화 및 검증:

링크드인 콘텐츠 제작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과의 상담을 통해 아이디어를 얻었습니다. 사용자가 콘텐츠 아이디어를 입력하면 AI가 고성능 링크드인 게시물로 변환해주는 앱을 구상했습니다.

시장 조사를 통해 링크드인 콘텐츠 제작의 어려움(일관성 유지, 고품질 콘텐츠 제작, 비용 부담)을 확인하고, 앱에 대한 수요를 검증했습니다.

 

2. 앱 디자인 및 랜딩 페이지 제작:

어두운 배경에 그라데이션 색상을 사용하여 앱 디자인 컨셉을 설정했습니다.

볼트(Bolt)라는 노코드 툴을 이용하여 랜딩 페이지를 제작했습니다. 랜딩 페이지에는 앱의 핵심 가치, 기능, 사용 방법, FAQ 등을 명확하게 제시하여 방문자의 구매를 유도했습니다.

 

3. 앱 기능 구현:

메이크(Make.com)이라는 자동화 플랫폼을 활용하여 앱의 핵심 기능을 구현했습니다.

  • 사용자의 음성 녹음을 텍스트로 변환
  • 챗GPT(ChatGPT)를 이용하여 게시물 초안 작성
  • 앤트로픽(Anthropic)을 이용하여 게시물 최적화
  • 최적화된 게시물을 앱으로 전송

 

4. 고객 확보 전략:

링크드인 이벤트 참석자를 잠재 고객으로 설정하고, 아웃바운드(Outbound)라는 툴을 이용하여 잠재 고객 목록을 구축했습니다. 아웃바운드는 개인 및 회사 정보를 수집하고, 개인 맞춤형 아웃리치 메시지를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이메일 및 링크드인 메시지를 발송하여 앱 사용을 유도했습니다.

 

도전 결과 및 교훈

48시간 내에 앱을 개발하고 배포하는 데 성공했지만, 유료 고객 확보에는 실패했습니다.

 

주요 교훈:

  • 앱 개발 전 마케팅 활동을 병행하여 잠재 고객 확보에 노력해야 합니다.
  • 노코드 툴을 사용하더라도 기본적인 코딩 지식은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됩니다.
  • 복잡한 기능 구현에 충분한 시간을 할애해야 합니다.

결론

48시간이라는 짧은 시간 안에 AI 앱을 개발하고 배포하는 과정은 쉽지 않았지만, 노코드 툴과 AI 기술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콘텐츠 제작 및 마케팅을 위한 다양한 AI 툴을 개발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반응형